사람이 살아가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를 일컬어 '의식주'라 부른다.
이 가운데 음식은 생명을 이어나가기 위해 매일 섭취하지 않으면 곤란하지만 버려지는 쓰레기도 상당하다.
실제로 환경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연간 550만 톤의 음식물쓰레기가 처리되고 있으며 1톤당 처리비용은 15만원에 달한다.
이를 계산하면 매년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8,000억원의 세금이 허공에 사라지는 셈이다.
전체 음식물쓰레기의 70%는 가정과 소형음식점에서 발생한다.
급식이나 대형음식점은 26%에 불과하다.
따라서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만 줄여도 상당한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사업을 추진중이다.
말 그대로 음식물쓰레기가 나오는 만큼 처리비용을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시행중인 쓰레기 종량제와 마찬가지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서울시를 비롯해 광명시, 경산시, 영천시, 용인시, 군포시, 태안군 등 자치단체에서도 시범 사업에서 전면 확대를 고려하고 있다.
아직까지 국민들 반응도 나쁘지 않다.
환경부가 작년 11월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음식문화개선 및 종량제 시행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국민(84.6%)이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종량제가 필요하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정부가 적극적으로 음식물처리가 앞세워=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계획적인 식단이지만 식습관을 갑자기 바꾸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핵심은 '무게'다.
수분을 최대한 짜내야 하는데 이럴 때 쓸만한 가전제품이 음식물처리기다.
음식물처리기는 지난 2006년부터 조금씩 등장하기 시작해 2008년까지 전성기를 누렸지만
제품 자체의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했고 저가 모델이 난무하면서 급속도로 시장이 줄어들었다.
실제로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GfK가 3월 초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가전시장 규모는 22조 8,100억원에서
올해 27조 8,300억원으로 22% 늘어났다. 하지만 가스오븐과 가스레인지, 음식물처리기는 시장규모가 작아졌다.
당시 음식물처리기가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성능. 음식물쓰레기를 완전히 건조하는데
적어도 12시간 이상이 필요했고 건조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등 제품 자체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했다.
이후 개선품이 시장에 나왔으나 이미 시장의 싸늘한 반응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전면 실시되면 '음식물쓰레기 부피=돈'이라는 공식이 성립되므로
음식물처리기에 대한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예전과 비교해 성능이 높아졌다는 점도 호재다.
|